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02.10 15:3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꾸미기]KakaoTalk_20230210_152807131.jpg

 

봄을 알리는 24절기의 첫 번째 절기인 입춘(立春)이 지나면서 벌써부터 봄기운이 물씬하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영하를 오르내리던 맹추위가 언제 그랬냐는 듯 시나브로 바람마저 따스하다. 계절은 이렇게 약속을 지킨다.

 

올해 입춘은 주말인 지난 4일이었다. 마침 다음날인 5일이 정월대보름이여서 기쁨이 두 배로 늘어난 기분이다. 민족대명절인 설과 추석 못지않게 농경사회였던 우리네 조상들에게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立春)과 한해의 첫 보름인 정월대보름의 의미는 각별했다. 

 

모든 일에 있어 시작이 중요하듯 계절의 시작인 봄과, 달의 시간인 음력을 사용했던 동양문화권에서 보름의 의미는 가장 근원이었던 셈이다. 

 

예컨대 현대인들은 한해가 바뀌는 것을 설날로 인식하고 있으나 동양문화의 정수인 주역에서는 입춘(立春)을 변환의 기점으로 본다. 그래서 주역을 기반으로 인간의 운명을 내다보는 사주명리학에서도 입춘을 기점으로 나이를 계산한다. 

 

요즘 사람들도 그렇지만 우리네 조상들에게도 알 수 없는 운명에 대한 불안함은 여전한 숙제였다. 그래서인지 매년 이맘때가 되면 마을마다 한해의 운명을 점치는 신수(身數)를 보는 이들이 많았다.

 

믿을 수도 믿지 않을 수도 없는 점복(占卜)신앙이지만 좋은 운은 반갑게 맞이하고, 나쁜 액운의 조짐은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간절한 마음 때문이 아니겠는가. 애플의 창시자 스티브 잡스도 살아생전 주역에 심취했다고 하니 그 우주와 같은 심오한 동양철학의 정수를 어찌 다 가늠해볼 수 있겠는가.

 

이렇듯 동양문화권에 있어서 달의 의미와 계절의 변환은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과 국가사회의 흥망성쇠(興亡盛衰)를 가늠하는 잣대로서 작용했던 셈이다.

 

지금도 농촌, 도시 가릴 것 없이 어르신들이 있는 가정의 대문이나 문간에는 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의 부적이 어김없이 붙는다. 생명의 계절인 봄의 길운을 기원하고 좋은 일이 많이 생기길 바라는 간절한 소망이 그 네 글자에 담겨있다. 

 

지난해의 묵은 때는 정월대보름날 깨끗이 태워 보낸다. 마을마다 달이 떠오를 때 달집에 불을 지르며 노는 풍속인 ‘달집태우기’는 달집이 훨훨 타야만 마을이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고 믿은 조상들의 전례 풍속이다. 

 

그해 액운이 든 사람의 저고리 동정이나 생년월일시를 쓴 종이를 불에 태워 액운을 날려버린다. 생솔가지 등으로 탑처럼 쌓아진 달집에 불이 붙으면 그 열기속에 모든 액운이 사라지는 희열감도 느낀다. 

 

그와 동시에 한 해 첫 보름달이 휘영청 밝게 떠오르면 저마다의 소원을 빈다. 각양각색의 소원이지만 저 하나의 보름달이 그 모든 이들의 간절한 마음을 현실에 투영해낸다고 생각해보면 사실 여부를 떠나 신비한 우주의 원리를 어찌 인간의 마음으로 다 헤아릴 수 있겠는가.

 

그런 민족 고유의 세시풍속인 달집태우기가 올해 수 년 만에 열렸다. 21세기 전염병인 코로나로 인해 그동안 이마저도 하지 못했던 각 시군 자치단체마다 모처럼 달집태우기 행사를 성대하게 치렀다. 

 

바이러스 하나에도 어쩌지 못하는 우리네 삶이고 보면 과학의 발전과 문명사회의 허울 속에서도 결국 인간이 의지할 곳은 우리 조상들이 그랬던 것처럼 보이지 않는 신(神)에 대한 기원과 우주의 섭리에 기댈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개인이나 가정, 국가마다 소망은 다르겠지만 길운을 빌고 액운을 물리쳐줄 것을 바라는 마음은 같을 것이다.

 

아무쪼록 올 한해 모든 가정에 소망하는 일이 이뤄지고, 건강한 한해로 행복한 나날이 펼쳐지길 기원한다.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일월칼럼〉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